식물명: 연꽃
분류: 미나리아재비목>수련과>연속
학명: Nelumbo nucifera Gaertn.
꽃색: 백색,붉은색
개화기: 7월, 8월
분포: 인도,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다년생 수초이다.
크기: 높이가 1m정도 자란다.
잎: 잎은 근경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물 위에 높이 솟고 둥근 방패모양이며 백록색이고 잎맥이 사방으로
퍼지며 지름 40cm정도로서 물에 잘 젖지 않고 엽병은 원주형이며 짧고 뾰족한 가시가 산생한다.
꽃잎과 더불어 수면보다 위에서 전개한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5-20cm로서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다. 뿌리에서 꽃대가 나오고 화경은 엽병처럼
가시가 있으며 화경 끝에 대형의 꽃이 1송이 핀다. 꽃받침은 4~5조각인데 녹색이고 소형이며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여러개이며 길이 8-12cm, 폭 3-7mm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둔두이며, 꽃턱은 크고 해면질이며 길이와
지름이 각 10cm정도로서 표면이 평탄하고 역원뿔모양이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타원형이고 길이 20mm정도이며 검게 익고 먹을 수 있다. 과실을 연실(蓮實)이라 한다.
뿌리: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주형이고 마디가 많으며 가을철에 끝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생육환경: 못 또는 늪지에 난다.
용도: 관상용이나 식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과실 및 종자, 근경, 肥厚根(비후근), 잎, 엽병 및 꽃자루, 꽃봉오리, 花托(꽃턱), 수술, 씨껍질, 胚芽(배아) 등을 약용한다.
蓮子(연자) - 연꽃의 과실 및 종자로서 養心(양심), 益腎(익신), 補脾(보비), 澁腸(삽장)의 효능이 있다.
藕密(우밀) - 연꽃의 가는 根莖(근경)으로 효능은 藕(우)와 같다.
藕(우) - 연꽃의 비대한 근경으로 생용(生用)으로는 淸熱(청열), 凉血(양혈), 해독,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삶아 익혀서
사용하면 健脾(건비), 開胃(개위), 益血(익혈), 生肌(생기), 止瀉(지사)의 효능이 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특히 연꽃은 더러운 연못에서 깨끗한 꽃을 피운다 하여 선비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다.
주무숙(周茂淑)은 애련설(愛蓮說)에서 "내가 오직 연을 사랑함은 진흙 속에서 났지만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어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이 소통하고 밖이 곧으며
덩굴지지 않고 가지가 없다.
향기가 멀수록 더욱 맑으며 우뚝 깨끗이 서 있는 품은 멀리서 볼 것이요 다붓하여 구경하지
않을 것이니 그러므로 연은 꽃 가운데 군자라 한다."고 하며 연꽃의 덕을 찬양하고 있다.
<양화소록 養花小錄>에서도 연꽃의 품성을 "깨끗한 병 속에 담긴 가을 물이라나 할까.
홍백련은 강호에 뛰어나서 이름을 구함을 즐기지 않으나 자연히 그 이름을 감추기 어려우니
이것은 기산(箕山)영천(潁川)간에 숨어 살던 소부(巢父) 허유(許由)와 같은 유라 하겠다" 고 평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종자를 많이 맺기에 연꽃을 다산의 징표로 보았다. 부인의 의복에 연꽃의 문양을
새겨넣는 것도 연꽃의 다산성에 힘입어 자손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금개구리
활동범위가 하루에 불과10m에 불과하며 왕눈이 이면서도
먹잇감이 근처에 있어도 잘 알아보지 못하고
천적이 다가와도 알아차리지 못하여 쉽게 잡히며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토종개구리
농약에 취약하여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