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꽃들의 이야기/野生花 이야기.

닭의장풀

by 밝은 미소 2020. 9. 2.

 

식물명:     닭의장풀

분류:        닭의장풀목>닭의장풀과>닭의장풀속

학명:        Commelina communis L.

꽃색:        파란색

개화기:     7월,8월

분포:        일본,사할린,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한해살이풀 .

크기:        높이 15-50cm이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막질의 엽초로 되며 길이 5-7cm, 폭 1-2.5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 있다. 엽초는 입구에

                 긴 털이 있고 약간 두꺼우며 질이 연하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포는 넓은 심장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없거나 있다. 외꽃덮이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안쪽 3개 중 위쪽의 2개는 둥글고 하늘색이며 지름 6mm이지만 다른 1개는 작고 무색이다.

                  2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삭과는 타원형이고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지며 2-4개의 종자를 산출한다. 

줄기:         높이 15-5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마디는 크다. 

뿌리: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생육환경:  밭이나 길가, 습지에서 잘 자란다. 

용도: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전초를 압척초라 하며 약용한다.  

유사종:      큰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 꽃은 한 장의 커다란 포에 싸여 있고 위쪽의

                  보라색 꽃잎은 2장이며 둥글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흰닭의장풀(Commeline communis for. albiflora Makino) : 옛 선비들은 대나무를 닮은 이 풀을 수반의

                  맑은 물에 재배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밭둑이나 길가 풀밭 어디에서나 흔하디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것이

닭의장풀이다.

닭의장풀은 꽃잎이 닭의 볏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흔하디 흔하지만 가만히 들여다 보면 나비모양의 꽃에 긴

꽃술이 정말 매력만점인 아름다운 꽃이다.

 

흔하디 흔해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꽃이지만 이 꽃의

진가(眞價)를 알려면 낮은 자세로 다가가서 자세히 들여다 보아야만

고운 모습이 눈에 들어오는 꽃 자세히 살펴 보아야 어여쁜 꽃이다.

 

흔하디 흔한 작은풀꽃 하나도 관심을 갖고 자세히 보아야 그 고운
꽃잎과 꽃술의 매력을 알 수 있는 꽃이다.
풀꽃 하나도 이렇게 아름다움을 지니고 뜨거운 한여름
고운 꽃을

피우며 우리들에게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지나는 발거음을 멈추게 하고 있다.

 

 

 

잎과 마디 모양이 대나무를 닮았다고 해서 죽절채(竹節菜)라 한다.

당나라의 시인 두보는 닭의장풀을 수반에 담아두고

'꽃이 피는 대나무' 라고 부르며 아꼈다.

중국에서는 꽃잎이 오리발을 닮았다 하여 압척초라 부른다.

 

 

장 근처에서 많이 자라고 닭의장풀은 꽃잎이 닭의 볏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는데 사실은 동의보감에서는 

계장초(鷄腸草)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가늘고 속이

비어있는 줄기가 닭의 창자를 닮았기에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나비처럼 파란 꽃잎두장 아래로 하얗게 보이는 것도 꽃잎이다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서 파란색으로

피는데 외꽃덮이 꽃잎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꽃위에서) 보이는

무색인 작은 잎 아래 2장 위 1장 이며 안쪽 꽃잎 2개는 둥글고 

파란색이고 (아래꽃에서) 꽃술 아래로 뽀족한 잎 1개는 무색이다.

 

 

수술은 6개로 아래로 길게 나온 꽃밥이 있는 수술 2개는

노란색을 띄고 마치 곤충의 더듬이 모양이며

안쪽에 짧은 4개의 수술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닭의장풀은 아침에 피었다가 오후가 되면 시들어 버리는 하루살이꽃이지만

뒤를 이어 하트모양처럼 생긴 포 속에 들어있는 꽃망울이 다음날에

또 다른 꽃이 그 다음날에 피어나는 이어 피기를 한다고 한다.

위의 포 속에도 아직 피지 않은 것들이 몇 개가 들어있는 모습이 보인다.

 

영어로는 "Day flower"라 하는 이유는 반나절도 못가서 지는

하루살이 꽃이기 때문이다.

겨우 반나절을 살고 떠나는 반짝 생명의 하루살이꽃이다.

반나절을 살고 떠나는 반짝 생명이어서 번식이 힘들것 같지만

곤충의 도움이 없어도 아래쪽 긴 수술을 안으로 굽혀서 암술에

꽃가루를 묻혀 자가 수정을 한다. 

닭의장풀은 꽃이 피는 순간 대부분 수정을 마친다.

꽃봉오리 안에서 서둘러 꽃으로서의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

꽃말이 순간의 즐거움인 이유이기도 하다.

 

꽃잎은 남색 물감을 들이는 염색으로 사용되고 대나무 잎처럼 생긴 부분은 연한것을
따서 연한 소금물에 데쳐서 갖은 양념을 해서 나물로 먹을 수 있는 식용가능한 식물이다.

 

 

 

 

'아름다운 꽃들의 이야기 > 野生花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봉선  (0) 2020.09.27
바람에 실려온 가을 향기  (0) 2020.09.21
덩굴박주가리  (0) 2020.08.31
해오라비난초  (0) 2020.08.27
큰낭아초  (0) 2020.08.25